Page 6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뉴스레터 VOL131 (2025년 06월)
P. 6

06    Newsletter from Korean Association of External Quality Assessment Service







                                       ABO 혈액형은 사람의 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의 종류에 따라 A, B, AB, O형으로 분류하는 혈액형 분

              ABO 혈액형                류 체계이다. 적혈구 표면에는 여러 단계의 합성 과정을 거쳐 당사슬(sugar chain)의 한 종류인 H 항원
                                     이 생성되며, 이 때 ABO 유전자형에 따라 A형 혹은 B형 당전이효소(glycosyltransferase)가 발현되어
            검사의                      H 항원 말단부에 N-아세틸갈락토사민(N-acetylgalactosamine)이 추가되면 A 항원이 되고, 갈락토스
                                     (galactose)가 추가되면 B 항원이 된다. ABO 유전자에 특정 변이가 있어 당전이효소가 만들어지지 못
            고려 사항                    하는 경우는 A, B 항원이 존재하지 않는 O형 혈액형이 된다. (그림 1.) 또한 ABO 항원에 대한 항-A 항체,

                                     항-B 항체는 자연 항체로, 해당 항원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이 없이 자신에게 없는 항원에 대한 항체가 혈
                                     액 내에 존재하게 된다. 한편 ABO 유전자 변이를 비롯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항원량이 감소하거나 항
                                     원 구조가 변한 ABO 아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비교적 흔한 cisAB형을 비롯해 A2, A3, Ael, B3,
                                     Bel 등 다양한 아형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ABO 아형은 수혈할 혈액제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계명의대
             김 경 보                   요인이므로 검사 과정에서 정확한 감별이 필요하다. 그리고 ABO 혈액형은 적혈구뿐만 아니라 체내 다양
             (간행위원)                  한 조직세포에서 존재하면서 조직적합성과 관련된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장기이식을 위해
                                     서도 정확한 판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임상검사실 혹은 혈액은행에서 시행하는 ABO 검사법은 항원,
                                     항체 시약을 이용한 혈청학적 검사(serologic test)법이 대표적이며, 좀 더 정밀한 검사를 위해 분자유전
                                     기법을 이용한 ABO 유전자형 검사(ABO genotyping)를 시행할 수 있다.




















                                      그림 1.  ABO 항원 구조 (참고문헌 1에서 부분 발췌)


                                       ABO 혈액형 혈청학적 검사법
                                     1��ABO�혈액형�검사
                                       ABO 혈액형 혈청학적 검사의 기본 원리는 항원-항체 반응을 통한 응집 여부를 관찰하는 것이다. 환자의
                                     혈구와 항-A 혹은 항-B 시약을 반응시키는 혈구형 검사(cell typing, front typing)와, 환자의 혈청과 A1
                                     형 혈구 혹은 B형 혈구를 반응시키는 혈청형 검사(serum typing, back typing)를 시행하며, 응집 반응을
                                     양성, 음성 혹은 0, 1+, 2+, 3+, 4+로 판정한 뒤 두 검사의 결과가 부합되는 경우 결과를 보고한다. 만약 두
                                     결과가 서로 부합하지 않는 ABO 불일치(ABO discrepancy) 현상을 보이는 경우 그 원인을 확인해야 한
                                     다. (그림 2.) ABO 불일치의 원인은 다양하며, 크게 검사법 자체의 요인과 환자측 요인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검사법 자체의 요인으로는 면역검사법의 특성 상 발생할 수 있는 비 ABO 항원 및 항체로 인한 교차반응,
                                     검사방법에 따른 간섭물질의 존재, 부적절한 검사 프로토콜(시약 농도, 반응 시간)으로 인한 불충분한 반
                                     응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고려하여 검사 도입 시 평가 및 내부정도관리 검토를 통해 적절
                                     한 검사 프로토콜과 문제해결(troubleshooting) 방침을 확립하여 검사지침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검사실 내에서 두 가지 이상의 제조사 시약 및 검사법(플레이트법, 시험관법, 원주응
                                     집법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두 검사법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결과를 판정하는 기준을 설정해 두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