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뉴스레터 VOL130 (2025년 03월)
P. 7

2025.3_Vol 130  07







                                     신의료기술 인정 검사 및 의료행위

                                     보건복지부는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평가된 의료 행위를 고시하고 있다. 검사항목의 자세한 사항은
                                     신의료기술평가사업본부 홈페이지에서 평가보고서를 조회하면 된다. 고시 전문(신의료기술의 안전성 유
                                     효성 평가결과 고시, 2025. 2. 7. 제2025-028호)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958. 무릎 골관절염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관절강내 주사


                                      가. 기술명
                                         한글명 : 무릎 골관절염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관절강내 주사
                                         영문명 : Intra-articular Injection of Autologous Platelet Rich Plasma in Knee Osteoarthritis
                                      나. 사용목적
                                         무릎 관절의 통증 완화 및 기능 개선
                                      다. 사용대상
                                         1년 이상의 기존치료(경구 약물 복용과 스테로이드 또는 히알루론산 관절강내 주사)에 반응하지
                                         않는 KL (Kellgren-Lawrence grade) 2 ~ 3등급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

                                      라. 시술방법
                                         말초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무릎 관절강내 주사함
                                         (단독 주사 투여에 한함)
                                      마. 안전성ㆍ유효성 평가결과
                                         무릎 골관절염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관절강내 주사는 심각한 합병증이 보고되지 않았고, 시술
                                         관련 합병증은 경미한 수준으로 안전성은 수용 가능하다. 무릎 골관절염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관절강내 주사는 기존 시술(스테로이드 또는 히알루론산 관절강내 주사 등)과 비교 시, 통증 완화
                                         및 기능 개선 결과가 유사하거나 근소하게 향상된 수준으로 유효한 기술이다. 따라서, 무릎 골관절
                                         염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관절강내 주사는 1년 이상의 기존치료(경구 약물 복용과 스테로이드
                                         또는 히알루론산 관절강내 주사)에 반응하지 않는 KL 2 ~ 3등급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무릎 관절의 통증을 완화하고 기능을 개선하는데 있어 안전하고 유효한 기술이다.


































              발       행  |  사단법인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발행인  |  송정한      편집인  |  송재우, 윤영안   T 02.744.6841    F 02.745.6653
              간행위원  |  송재우, 김경보, 김의곤, 김정우, 김진석, 문수영, 박정용, 서동희, 이누리, 이지원, 이혜영, 임성은, 정윤서, 조은정, 최수인
              홍보섭외위원  |  윤영안, 박형두, 이경훈, 김민선, 김상미, 유신애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