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뉴스레터 VOL131 (2025년 06월)
P. 4

04    Newsletter from Korean Association of External Quality Assessment Service







                                     우리 기관에서도 CAP Inspection을 하면 적지 않은 Deficiencies와 Recommendation을 받게 되며
                                     Top 10 Deficiencies 항목 중에서도 빠지지 않고 Deficiencies를 받게 된다. 매년 CAP에서 보내주는 전
                                     년도 Inspection에서 가장 흔한 10가지 체크리스트 미비점에서도 항목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을 볼 때
                                     기본적인 check 사항을 준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 문헌
                                        1.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of 1988; final rule. Fed Register.
                                        2.  Resources: cap.org














                                     표적치료제 간섭에 의한 DTT처리 비예기항체검사 해석과 수혈계획 수립
            검사실에서
                                     다발성골수종에 사용되는 표적치료제는 세포 표면의 CD38 단백질에 결합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대
            생긴 일                     표적으로 다잘렉스(Daratumumab)와 살클리사(Isatuximab)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약제는 비예기항
                                     체 선별 및 동정 검사시 위양성을 유발하므로, 정확한 결과 확인을 위해 DTT(Dithiothreitol) 시약을 사용
                                     하여 재검 후 음성으로 판정되면 이를 최종 결과로 보고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증례와 같이 항체선별검사에서 DTT처리 후에도 양성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공유하고
                                     자 한다.
             삼성서울병원
             김 의 곤
                                     ■   증례
             (간행위원)
                                      〮 2024. 12. 24: 다발성 골수종으로 입원
                                      〮  2024. 12. 28: ABO/Rh 혈액형 검사 및 비예기항체 검사 의뢰

                                       - 비예기항체 검사 결과:  I-II cell양성(2+)
                                       - 투약 이력: 12/26일, Isatuximab 투여 확인.

                                     ◎ DTT 처리 후 Ab screen 재 시행















                                      〮  I cell: 음성(-), II cell: 양성(2+)
                                      〮  Rh-hr(E, c), Kidd(Jkb), Lewis(Leb), MNS(s) 계열의 불규칙항체 의심됨.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