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뉴스레터 VOL130 (2025년 03월)
P. 1

Newsletter  130호                                            2025

                                          진단검사 정도관리                                                 03










            Newsletter from Korean        Luminex를 이용한                                          GC녹십자의료재단
                                                                                                이 지 원
         Association of External Quality   HLA (human leukocyte antigen)                        (간행위원)
              Assessment Service
                                          항체검사 해석시 주의사항




          Luminex를 이용한                    장기이식 환자들이 이식 수술을 받기 전에 수혈, 임신, 장기이식 등 타인의 HLA (Human
          HLA (human leukocyte antigen)
                                          leukocyte antigen)에 노출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동종면역반응에 의해 HLA 항체가 생기게 되
          항체검사 해석시 주의사항    …………… 01
                                          는데, 이러한 항체는 고형장기이식 시 초급성거부반응, 급성거부반응, 만성거부반응의 원인이 된
                                          다. 따라서 장기이식 환자에서 HLA 항체 유무의 검출은 매우 중요하며 Luminex를 이용한 HLA
          진료정보교류와 보건의료데이터의
                                          항체 검사는 장기 공여자 선정, 이식 전 탈감작 시행여부 판단, virtual crossmatching 및 이식 후
          상호운용성    …………………………………………… 02
                                          예후 판단에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HLA 단일항원동정검사는 재조합 단일 항원이 부착된 Luminex 비드를 장기이식 예정 환자
          검사실에서 정성 검사 평가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04    또는 이식을 받은 환자의 혈청 내 HLA 항체와 반응시켜 기존의 다종 항원 이용 시 동정되지 않았
                                          던 정확한 HLA 항체를 동정함으로써 개별항원에 대한 항체특이성을 정확히 동정하고 공여자에게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공여자 특이항체(Donor Specific Antibody, DSA) 유무를 판단하고 검출할
          진단검사실에서 알아야 할 법률 및
          건강보험 관련 정보 (2025-I)   ………… 06   수 있는 검사법이다.
                                          Luminex를 이용한 HLA 단일항원동정검사에서는 여러 기술적인 요인에 의해 항체 결과의 형광
                                          강도(median/mean fluorescence intensity, MFI)값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MFI 값은 변이계수
                                          (coefficient variation)가 20%를 넘어 정량검사의 범주에 속한다고 보기 어렵고, 정맥주사용 면
                                          역글로불린(IV immunoglobulin), C1 면역복합체, IgM 면역글로불린 등 여러 간섭물질에 의해
                                          위양성 혹은 위음성 결과를 보일 수 있으므로 결과 해석시 항상 주의가 필요하다.
                                          정맥주사용 면역글로불린을 투여 받는 환자나 염증, 감염을 동반한 환자에서 비특이적 물질에
                                          의해 HLA 항체가 위양성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비특이적 결합이 있는 경우에는 음성 대조
                                          (negative control) 물질의 MFI 값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결과 해석 시 음성 대조 물질의 결과
                                          를 유의해서 관찰해야 한다.
                                          반대로 HLA 항체 역가가 지나치게 높은 환자에서는 C1 면역복합체 침착으로 인해 비드에 결합
                                          이 유발되거나, IgM 등 기타 혈청 물질이 항체 대신 비드에 결합하여 항체과잉구역반응(prozone
                                          effect)에 의한 위음성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위양성 혹은 위음성 결과가 의심되는 경우 검체를 희석하거나, 혈청에 열처리, DTT를 처리하여
                                          IgM 항체를 불활성화 시키거나,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나 DTT, 또는 열처리
                                          로 C1 면역복합체를 불활성화시킨 후 검사하여, 간섭물질에 의한 결과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비드 내 각 항원들은 공통된 항원결정부위(epitope)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혈청 내
          사단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법인                              HLA 항체가 여러 비드에 분산되어 결합할 경우 실제보다 낮은 MFI 값을 보일 수 있으며, 환자가
                                          가진 HLA 항체가 비드의 해당 HLA 항원뿐만 아니라 교차반응군(Cross reactive group, CREG)
          05854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에 속한 항원과 결합하는 경우에도 MFI 값이 낮게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결과 해석시 epitope와
          문정역SKV1 A동 1505호
          TEL  02)744-6841                CREG 항원에 대한 항체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