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뉴스레터 VOL131 (2025년 06월)
P. 1
Newsletter 131호 2025
진단검사 정도관리 06
Newsletter from Korean HIV 선별검사에서 약양성 보고 시 한림의대
이 누 리
Association of External Quality 검사실의 조치와 간섭 요인 관리 (간행위원)
Assessment Service
HIV 선별검사에서 약양성 보고 시 HIV 감염은 조기 진단과 치료 개입이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감염질환으로, 정확하고 신속
검사실의 조치와 간섭 요인 관리 … 01 한 진단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국내 다수의 의료기관에서는 항체 및 항원을 동시에 검출하는 4세
대 HIV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들 분석법은 높은 민감도로 인해 초기 감염이나 항원만 존재
2024 CAP Top 10 Most Common 하는 시기까지 포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동시에 비특이적 반응에 의한 위양성이나 약양성
Checklist Deficiencies …………………… 02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본 검사실에서도 수 건의 HIV 약양성 사례가 보고되었고,
그중 일부는 반복검사에서 비반응성으로 전환되거나, 검체 종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양상을
검사실에서 생긴 일 …………………………… 04 보였다. 이에 따라 약양성 발생 시 검사실의 대응 방식, 특히 검체 간섭 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조치
에 대해서 재정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 글에서는 그간의 사례 검토와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ABO 혈액형 검사의 고려 사항 ……… 06 약양성 결과의 해석과 간섭 억제 방안, 그리고 검사실 운영 지침을 정리하고자 한다.
HIV 선별검사는 일반적으로 화학발광면역분석(CMIA), 전기화학발광(ECLIA) 등 자동화된 면역화
학 분석기를 기반으로 하며, 결과는 S/CO(signal-to-cutoff ratio)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S/CO
값이 임계값 주변에서 약하게 반응할 경우, 약양성으로 분류되며, 검사실은 다양한 간섭 가능성
을 배제하고, 재현성을 확인한 뒤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해석을 제공해야 한다. 약양성 결과가 보
고되었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검체 종류와 처리 상태이다. 검체가 serum separator
tube에서 검사되었을 경우, 분리 gel이 혈청 상층에 미세하게 혼입되거나, 물리적 처리 조건에 따
라 겔 성분이 면역반응에 비특이적 영향을 줄 수 있다. CLSI M53-A 및 이전 출판된 보고에서도
gel 성분이나 불완전한 원심분리가 CMIA 기반 HIV 검사에서 위양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하
고 있다(Clin Chim Acta. 2010;411(1-2)). 따라서 gel tube를 사용한 경우, 3,000g 이상으로 10분
이상 고속 원심분리를 시행하여 분리막 성분과 미세입자의 간섭 가능성을 최소화한 후 재검을 시
행하거나, 만약 plasma 검체가 확보되어 있다면 우선적으로 해당 검체를 이용하여 재검하는 것
도 바람직하다. 검체 간섭 가능성이 의심되는 경우, 일부 검사실에서는 serum 내 비특이적 항체
나 단백질의 농도를 낮추고, 분석 반응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1:1 혈청 희석(mixing with
pooled serum) 후 재검을 시행하기도 한다. CDC와 WHO를 비롯한 주요 기관들의 지침에서는
초기 검사에서 reactive 결과가 나왔으나 반복 검사에서 non-reactive로 나타나는 경우, 해당 결
과를 위양성으로 간주하고 새 검체를 요청하거나, 임상 판단 하에 음성으로 처리할 수 있다고 명
시하고 있다. 국내 질병관리청 가이드라인 또한 동일 검체 2회 반복 검사에서 비반응성으로 반복
되지 않는 경우 위양성 가능성을 고려하며, 재채혈을 권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검사실에서는 HIV 선별검사에서 약양성 결과가 발생할 경우, 검사실에
사단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를 수 있다: Initial reactive 결과는 동일 검체로 2회 반복 검사 시행
법인
후 반복 검사에서 모두 비반응성일 경우 위양성으로 간주, 동시에 새 검체 요청하여 반복 검사 시
05854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8 행, gel tube 사용 시 초고속 원심분리 또는 plasma 재검, 필요시 간섭 제거를 위한 검체 재구성
문정역SKV1 A동 1505호 (serum mixing) 고려, SOP에 절차 반영 및 검사자 교육 강화.
TEL 02)744-6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