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뉴스레터 VOL129 (2024년 12월)
P. 8

08    Newsletter from Korean Association of External Quality Assessment Service







                                        저는 이런 시스템을 안전장치에 비유하고 싶습니다. 때로는 거추장스럽지만 우리가 세운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뤄내기 위해 꼭 가져가야 할 것들.


                                      Q8.  마지막으로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최근 POCT와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자격을 갖춘
                                        사람이 검사를 정확히 수행하고, 지속적인 정도관리를 통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체계와 제도를
                                        마련하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POCT 검사의 목적과 취지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저희 진료소에서는 SARS-CoV-2 항원 검사를 POCT로 분류하여 선별 및 이송 진료소(Triage &
                                        Transfer Care, TTC)에서 운영했습니다. 검사실에서는 POCT 검사자(간호팀 또는 의무병)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사전 분석(pre-analytic), 분석(analytic), 후 분석(post-analytic) 단계로 필요한
                                        기술을 평가한 후 검사 권한을 부여했습니다. 또한, 단순검사(Waived Test) 수준의 내부 및 외부
                                        정도관리를 실시했으며, CAP의 PT에도 참여했습니다.

                                        POCT 검사의 취지에 맞게 현장에 있는 누구든, 적절한 교육을 받은 자격 있는 사람이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검사실은 POCT 검사의 안정성을 위해 새로운 검사자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정도관리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검사실 외에서 수행되는 현장검사가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되기를 바라며, 그 중심에서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가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기대합니다.









































                                                   Camp Casey 진료소에서 김기정 선생님 (우측) 사진 (2024.12.05.)








              발       행  |  사단법인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발행인  |  송정한      편집인  |  송재우, 윤영안   T 02.744.6841    F 02.745.6653
              간행위원  |  송재우, 김솔잎, 김정우, 김진석, 김현수, 노주혜, 박정용, 서동희, 안미숙, 양정희, 이지원, 이혜영, 인지원, 정다정, 최수인
              홍보섭외위원  |  윤영안, 김보현, 김솔잎, 김수경, 박형두, 이경훈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