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뉴스레터 VOL130 (2025년 03월)
P. 3

2025.3_Vol 130  03







                                     기 때문에 관련 표준의 준수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보건의료데이터 교류 시 핵심이 되는 데이터 항목,
                                     용어 표준 및 전송 규격 등을 규정하여 ‘한국 핵심교류데이터 (Korea Core Data for Interoperability,
                                     KR CDI)’ 및 ‘한국 핵심교류데이터 전송 표준 (FHIR KR Core)’를 지정하고 있다. 한국 핵심교류데이터
                                     (KR CDI)는 의료데이터 교류 시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정보 집합으로, 의료기관, 공공기관, 민간, 환자
                                     등이 국내에서 의료데이터 교류 시 핵심이 되는 주요 정보의 표준을 정의한 것이다. 한국 핵심교류데이
                                     터 전송 표준 (FHIR KR Core)는 핵심교류데이터를 상호 교환할 때 국제전송기술표준(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FHIR)에 따라 교류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 규격 등이 정의된 전송 기술
                                     상세규격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등을 정의한 것이다.
                                     보건복지부 산하의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분야별 보
                                     건의료용어표준 개발 사업을 시행해오고 있으며, 진단검사의학과도 진단검사 분야 보건의료데이터의 표
                                     준화(Standardization)를 위하여 용어표준 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해오고 있다. 진단검사 분야 데이터의
                                     표준화는 상호 운용성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다. 또한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는 전자
                                     의무기록시스템 기능에 대한 국가적 표준과 적합성 검증을 통해 진료정보 상호운용성 확보 및 품질 향상
                                     을 위하여 EMR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진료정보교류 사업, EMR 인증제 및 건강정보 고속도로 모두
                                     보건의료데이터의 상호운용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여기서 상호운용성은 두 개 이상의 시스템 또는 구성
                                     요소가 정보를 교환하고 그러한 시스템이 교환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간
                                     혹 상호운용성과 건강정보교환(Health Information Exchange)을 혼동하여 바꿔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
                                     다. 그러나 건강정보교환은 상호운용성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지만, 단순한 정보 교류만으로는 완
                                     전한 상호운용성을 달성할 수 없다.

                                     상호 운용성은 네 가지 수준으로 구성된다 (표1). 기초적 수준은 시스템 간의 기본적인 연결과 안전한 데
                                     이터 전송을 보장하며, 구조적 수준은 표준화된 데이터 형식과 구조를 정의하여 원활한 해석을 지원한다.
                                     의미적 수준은 데이터의 의미를 일관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 코딩 및 공통 모델을 적용하는
                                     단계이며, 조직적 수준은 의료기관 및 관련 조직 간의 협업과 정책, 법적 요건을 통합하여 실질적인 데이
                                     터 활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의미적 수준의 상호운용성은 보건의료 정보 교류에서 가장 중요
                                     한 요소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기술이다. 이
                                     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의료진 간 통일된 용어 및 표준화된 의료 언어를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표 1. 상호운용성의 네 가지 수준

                                                                        의료 기관 및 의료 엔티티 간의 안전하고 신속한 협업과
                                                      조직적 수준            데이터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거버넌스, 정책, 법률 및
                                      Level 4
                                              (Organizational Interoperability)  조직적 요소를 통합, 공유 및 동의와 통합된 최종 사용자
                                                                              워크플로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

                                                                        의미적 수준은 데이터 코딩 및 공통 기본 모델을 제공
                                                      의미적 수준            액세스 가능한 값 집합 및 코딩 어휘에서 표준 정의와
                                      Level 3
                                                (Semantic Interoperability)  데이터 요소를 포함하여 시스템이 데이터의 의미를
                                                                                공통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함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 구조, 형식 및 구문을 이해하여
                                                      구조적 수준
                                      Level 2                                    해석을 위한 능력을 포함
                                                (Structural Interoperability)
                                                                         시스템 간 공통의 이해를 갖도록 표준 형식을 정의

                                                                              상호 운용성의 가장 기본적인 수준
                                                      기초적 수준              두 시스템이 공통 형식으로 통신하고 정보를 교환
                                      Level 1
                                               (Foundational Interoperability)  시스템 간의 기본 연결을 수립하고 올바르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