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춘계 특강 |
| Laboratory Medicine as a Creative Medicine |
전창호 |
 |
춘계 심포지엄 1. 신빙도조사사업의 이해 |
| 신빙도조사사업의 국내 현황 및 향후 방안 |
윤여민 |
 |
| 신빙도조사사업의 판정 기준과 해석 |
박승만 |
 |
| 신빙도조사사업 관련 질문과 해결 방안 |
이경훈 |
 |
춘계 심포지엄 2. 간염검사의 이해 |
| B형 간염 관련 검사 |
오은지 |
 |
| C형 간염 관련 검사 |
송준협 |
|
| 자가면역성 간염 관련 검사 |
이종한 |
|
춘계 심포지엄 3. 신빙도조사사업의 실제 |
| 호르몬검사 |
박형두 |
|
| 신생아대사이상선별검사 |
조성은 |
 |
| 고형종양 진단유전검사 |
이우창 |
 |
| 유전질환 진단유전검사 |
성문우 |
 |
| 수혈특수항체검사 |
조덕 |
 |
춘계 심포지엄 4. 감염병의 재유행 |
| 매개체 감염병 |
김선주 |
 |
| 신종 감염병 |
이미경 |
 |
| 재출현 감염병 |
정재우 |
 |
춘계 심포지엄 5. 세포유전 검사실의 질관리 |
| ISCN 기초부터 최신까지 |
김명신 |
 |
| 염색체 검사의 질관리 |
김재력 |
 |
| FISH 검사의 질관리 |
김현영 |
 |
춘계 심포지엄 6. 검사 수행능평가의 이론과 실제 |
| 진단검사의 직선성 평가 |
박연희 |
 |
| 진단검사의 장비간 비교 |
강소영 |
 |
| 외부정도관리의 평가 |
박희수 |
 |
춘계 심포지엄 7. 진단혈액검사의 정도관리 |
| 일반혈액검사 |
이승엽 |
|
| 혈액응고검사 |
김혜림 |
 |
| 디지털 형태학적검사 |
하지혜 |
|
추계 특강 |
|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에서 본 우리나라 의료제도: 수가, 정책, 그리고 가치 |
엄태현 |
 |
추계 심포지엄 1. 신빙도조사사업의 이해 |
| 신빙도조사사업의 현황 및 분석 |
박승만 |
 |
| 신빙도조사사업의 신규 프로그램과 가이드북 |
이경훈 |
 |
| 분석수행사양의 개념과 활용 |
박용정 |
 |
추계 심포지엄 2. 검사결과의 자동검정 및 재검 |
| 자동검정 및 재검 지침 소개 |
박건 |
 |
| 임상화학검사의 자동검정 실제 |
정태동 |
 |
| 일반혈액검사의 자동검정 실제 |
김혜림 |
|
추계 심포지엄 3. 혈액종양질환의 진단부터 이식까지 |
| 골수검사 판독지의 해석 |
이승엽 |
 |
| 진단과 추적(MRD) 검사결과의 해석 |
김미영 |
 |
| 이식 전과 후에 시행하는 검사 종류 |
제갈동욱 |
 |
추계 심포지엄 4. 현미경 판독검사 – 신빙도조사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 체액세포검사 |
장윤환 |
 |
| 요침사 |
전창호 |
 |
| 말초혈액혈구세포 (이형성증을 중심으로) |
김선경 |
 |
추계 심포지엄 5. 대변 미생물 검사 |
| 대변 배양검사와 정도관리 |
오예진 |
 |
| C.difficile 검사의 종류 및 해석 |
김영진 |
 |
| CRE/VRE 검사 |
이양순 |
 |
추계 심포지엄 6. 신빙도조사사업의 실제 |
| 정확도기반 지질검사 |
윤여민 |
 |
| 일반혈액검사 |
이영경 |
 |
| 항산균검사 |
김창기 |
 |
| 감염성 세균 항원항체검사 |
기승정 |
|
추계 심포지엄 7. 종양 진단유전검사에서 액체생검의 실제와 적용 |
| 검사 전처리와 해석상의 주의사항 |
김윤정 |
 |
| 치료제 선택을 위한 액체생검 적용 |
김홍경 |
 |
| 잔존질환 모니터링을 위한 액체생검 적용 |
임지숙 |
 |